티스토리 뷰
Java, OutOfMemory
Java, about PermGen
Tomcat, Memory Leak Protection
Java, What is Memory Leak
* 오라클 JAVA 옵션
* JVM Memory Model
(아래 이미지는 퍼온건데 기록을 해두지 않아서 참 난감하네요...)
* HotSpot JVM image
(아래 이미지도 퍼온건데 기록을 해두지 않아서 참 또 난감하네요...)
* Setting about "JAVA_OPTS" values, tomcat
- JAVA OutOfMemory: heap space
, 서버 세팅 시에는 메모리 자원이 넉넉한 경우, 되도록이면 두 값을 동일하게 설정한다
, 두 값이 차이가 있고 그 차이가 클 수록 메모리 오버헤드 부담(작은 사이즈에서 큰 사이즈로 변경 될 때 메모리 부담)으로 서버 구동 시 문제 발생 가능성 높아짐
-Xms4096m
-Xmx4096m
- JAVA OutOfMemory: PermGen space
, PermSize 는 최초 init 시 의 메모리 사이즈
, MaxPermSize 는 최대 치 메모리 사이즈
, PermSize 를 무한정 키운다고 메모리 오류를 완벽히 해결할 수 없다, 용량이 적을 때 보완할 수 있을 뿐
, could be reduced by dealing with fixing memory leaks, 해당 에러는 코딩 시 메모리 누수 보완 작업 등을 통해 예방하거나 줄일 수 있다, 완벽히 보완하거나 없앨 수 없다
-XX:PermSize=64m
-XX:MaxPermSize=256m
- JAVA Dump On OutOfMemory
, 메모리 오류 관련 덤프 옵션 설정 및 메모리 덤프 위치 설정 옵션
-XX:+HeapDumpOnOutOfMemoryError
-XX:HeapDumpPath=D:\jvm_heap_dump_area\heapdump.hprof
- JAVA JMX RMI remote Monitoring
, 서버 구동 시 원격 Java 관련 메모리, 쓰레드 등 JVM 구동상태 모니터링 하기 위한 옵션, 해당 포트는 Open 되어야 하고,
, hostname 은 해당 실제 JVM 이 구동되고 있는 서버의 ip 를 기재한다
-Dcom.sun.management.jmxremote
-Dcom.sun.management.jmxremote.port=28081
-Dcom.sun.management.jmxremote.rmi.port=28081
-Dcom.sun.management.jmxremote.local.only=false
-Dcom.sun.management.jmxremote.authenticate=false
-Dcom.sun.management.jmxremote.ssl=false
-Djava.rmi.server.hostname=192.168.11.16
- JAVA default serial GC, but this can be as parallel GC
, 기본적으로 JVM GC(Garbage Collection) 는 serial 하게 수행되지만, 해당 옵션 설정 시 parallel 하게 수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
-XX:+UseParallelGC
- JAVA IPv4 stack as higher piority
, IPv6 지원 랜카드 확대로 해당 옵션 없을 경우 IPv4 의 ip 로 정상 구동 하지 않는 경우 발생
, 로컬 개발 시 tomcat 기동 혹은 maven tomcat:run 의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음
-Djava.net.preferIPv4Stack=true
- (번외)Non GUI OS 사용 시, 서버 버젼의 linux, unix-liked OS 사용 시 GUI 관련 클래서 활성화, Windows OS 는 불필요
-Djava.awt.headless=true
- Linux based OS, file setting
~/tomcatX/bin/setenv.sh
- Windows based OS, file setting
~\tomcatX\bin\setenv.bat
- Windows based OS, binary setting
~\tomcatX\bin\tomcat.bat (execute this)
~\tomcatX\bin\tomcat7w.exe
- setenv.sh (SET AS JAVA_OPTS or CATALINA_OPTS)
#! /bin/sh
export JAVA_OPTS="$JAVA_OPTS -Xms4096m"
export JAVA_OPTS="$JAVA_OPTS -Xmx4096m"
export JAVA_OPTS="$JAVA_OPTS -XX:PermSize=64m"
export JAVA_OPTS="$JAVA_OPTS -XX:MaxPermSize=256m"
export JAVA_OPTS="$JAVA_OPTS -XX:+HeapDumpOnOutOfMemoryError"
export JAVA_OPTS="$JAVA_OPTS -XX:HeapDumpPath=/var/dump/jvm_heap_dump_area/heapdump.hprof"
export JAVA_OPTS="$JAVA_OPTS -XX:+UseParallelGC"
export JAVA_OPTS="$JAVA_OPTS -Djava.net.preferIPv4Stack=true"
export JAVA_OPTS="$JAVA_OPTS -Dcom.sun.management.jmxremote"
export JAVA_OPTS="$JAVA_OPTS -Dcom.sun.management.jmxremote.port=28081"
export JAVA_OPTS="$JAVA_OPTS -Dcom.sun.management.jmxremote.rmi.port=28081"
export JAVA_OPTS="$JAVA_OPTS -Dcom.sun.management.jmxremote.local.only=false"
export JAVA_OPTS="$JAVA_OPTS -Dcom.sun.management.jmxremote.authenticate=false"
export JAVA_OPTS="$JAVA_OPTS -Dcom.sun.management.jmxremote.ssl=false"
export JAVA_OPTS="$JAVA_OPTS -Djava.rmi.server.hostname=192.168.11.16"
- setenv.bat (SET AS JAVA_OPTS or CATALINA_OPTS)
@echo off
set JAVA_OPTS="%JAVA_OPTS% -Xms4096m"
set JAVA_OPTS="%JAVA_OPTS% -Xmx4096m"
set JAVA_OPTS="%JAVA_OPTS% -XX:PermSize=64m"
set JAVA_OPTS="%JAVA_OPTS% -XX:MaxPermSize=256m"
set JAVA_OPTS="%JAVA_OPTS% -XX:+HeapDumpOnOutOfMemoryError"
set JAVA_OPTS="%JAVA_OPTS% -XX:HeapDumpPath=D:\jvm_heap_dump_area\heapdump.hprof"
set JAVA_OPTS="%JAVA_OPTS% -XX:+UseParallelGC"
set JAVA_OPTS="%JAVA_OPTS% -Djava.net.preferIPv4Stack=true"
set JAVA_OPTS="%JAVA_OPTS% -Dcom.sun.management.jmxremote"
set JAVA_OPTS="%JAVA_OPTS% -Dcom.sun.management.jmxremote.port=28081"
set JAVA_OPTS="%JAVA_OPTS% -Dcom.sun.management.jmxremote.rmi.port=28081"
set JAVA_OPTS="%JAVA_OPTS% -Dcom.sun.management.jmxremote.local.only=false"
set JAVA_OPTS="%JAVA_OPTS% -Dcom.sun.management.jmxremote.authenticate=false"
set JAVA_OPTS="%JAVA_OPTS% -Dcom.sun.management.jmxremote.ssl=false"
set JAVA_OPTS="%JAVA_OPTS% -Djava.rmi.server.hostname=192.168.11.16"
'같이씁시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yper-V NAT 네트워크 설정(포트포워딩, 외부에서 게스트 OS 접근, PowerShell) (0) | 2022.02.19 |
---|---|
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모델링, 정규화 (0) | 2018.12.20 |
간단한 리눅스 사용법 #01 (0) | 2016.08.08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관계형
- 아는척하지말자
- Hyper-V
- 포켓몬고
- 누수
- malware aware
- 숫자처리
- 파워쉘
- 숫자형처리
- PermGem
- 하이퍼브이
- 모르면모른다고해
- 자료형
- malware
- malware zero kit
- 포트포워딩
- rdb
- Java Memory Leak
- 외부에서게스트OS접근
- hotspot
- 문자열처리
- 메모리누수
- 새누리
- 캐피탈리즘
- NAT
- marvel
- 마블
- 자료형확인
- mzk
- Capitalism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글 보관함